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교통사고소송실무

일시 체류 외국인 사고, 본국 소득기준으로 배상액 산정해야 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일시 체류 외국인 사고, 본국 소득기준으로 배상액 산정해야 할까?


1. 외국인·외국 거주자의 소득 기준, 왜 문제인가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나 산업재해가 일어났을 때, 가해자가 손해배상 의무를 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피해자가 외국 국적이거나 해외에 거주 중이라면, 그 사람이 원래 벌고 있던 소득(또는 장래 벌 수 있었던 소득)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가 복잡해집니다.


예시: 한국으로 관광 온 외국인이 교통사고를 당해 크게 다쳤다면, ‘한국에서의 일실소득’과 ‘본국에서의 수입’ 중 무엇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지 의문이 생기는 것이죠.


2. 세 가지 접근법: 국내 소득 vs. 본국 소득 vs. 혼합 방식

학계와 실무에서 흔히 거론되는 방식은 대략 세 가지입니다.


1. 국내 소득 기준: 한국에서 근무 중이었다면, 사고 당시 기준으로 계속 국내에 머물며 그 소득을 이어갈 것이라 보고 배상액을 계산.

2. 본국 소득 기준: 피해자가 조만간 본국으로 돌아갈 예정이거나 관광 차원으로만 잠시 왔다면, 그 본국에서 평소 벌던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방식.

3. 혼합(이원적) 접근: 특정 기간(예: 한국 체류 예정 기간)까지는 국내 소득으로, 이후에는 본국 소득으로 판단하자는 견해입니다.


3. ‘적법한 일시 체류자’라면, 본국 소득이 원칙

대법원 판례나 실무 경향에 따르면, **“애초부터 취업 활동이 예정되지 않은 관광객이나 단기 체류자”**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한국에서 앞으로 수입을 얻을 가능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사고 당시 그 사람이 한국에서 수입을 전혀 올리지 않았다면, 장래에도 계속 한국에 체류하면서 직업을 구하거나 임금을 받을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봐야 합니다.


결론: 이 경우 손해배상을 산정할 때, 피해자의 본국(생활 근거지) 기준으로 소득액이나 가동연한을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견해가 우세합니다. 예컨대, 본국에서 언제까지 일할 수 있는지(퇴직 연령), 평균 임금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죠.


4. 구체적 예시


사례 A: 단순 관광 목적으로 1주일간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 B가, 스쿠터 사고로 크게 다쳤다면? B는 계속 한국에 머무르며 소득을 벌 계획이 없었으므로, 사고 전 생활 기반인 본국으로 돌아가 일할 가능성이 대부분입니다. 이때 법원은 B 본국의 임금·물가·취업 환경 등을 살펴보고 일실소득을 계산하려 할 것입니다.

사례 B: 반면, 외국인 C가 이미 한국 회사에 고용되어 합법 취업 비자로 체류 중이었다면, 일단 한국에서 일정 기간 근무할 임금 수준을 산정하고, 그 뒤 체류 연장 여부가 불확실하면 본국 소득과 결합한 ‘혼합 방식’을 고민할 수도 있습니다.


5. 결론: “적법한 일시 체류” 시 소득 기준은 본국 중심

정리하면, 관광·단기 체류자가 사고를 당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는 국내에서 계속 소득을 얻을 전망이 없었으므로, 사고 전부터 유지해 온 본국 소득을 기준으로 삼는 게 자연스럽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한국에 있었던 건 단기 여행·출장에 불과하므로, 장기간 국내 취업을 할 개연성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물론 피해자에게 “사실 나는 한국에 취업 계획이 있었고, 취업 비자 발급 절차를 밟고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입증이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지만, **‘적법한 일시 체류자’**라면 대체로 본국 소득 기준이 손해배상 산정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