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교통사고소송실무

시간·장소가 달라 결과도 구별된다면, 공동불법행위 성립은 어려울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시간·장소가 달라 결과도 구별된다면, 공동불법행위 성립은 어려울까


1. 문제 제기

교통사고와 의료사고가 함께 발생했다고 해서, 언제나 두 가해행위를 ‘공동불법행위’로 묶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행위들 간에 시간·장소가 분리되고, 그로 인한 결과 역시 서로 독립적으로 구별 가능하면, 단일한 결과를 야기한 공동불법행위라고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취해 왔습니다.


2. 사건 개요: 교통사고 후 병원 추락사

1984년 8월 8일 오전 11시 30분쯤, 트럭 운전자의 과실로 보행자 A씨가 중상(뇌좌상, 뇌기저부 골절 등)을 입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긴급 이송되었습니다. 그런데 사고 약 한 달 뒤인 9월 10일 새벽, A씨는 병실을 빠져나가 비상계단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고, 유족은 “트럭 운전자와 병원 측이 공동불법행위로 전체 손해에 대한 연대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3. 대법원의 판결 요지


3.1. 시간·장소가 분리된 두 사고

대법원(1989. 5. 23. 선고 87다카2723)은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하려면 가해행위들이 객관적으로 함께 피해자에게 손해를 가했거나, 단일 결과를 일으켰다고 볼 수 있어야 한다고 전제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 사고: 1984년 8월 8일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트럭 운전자 과실)

두 번째 사고: 1984년 9월 10일 병원 내부 시설·관리상의 과실(추락사)

즉, 두 사고가 시간과 장소가 다르고, 각각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부상 vs. 추락사)를 독립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3.2. 연대배상 명령은 잘못

이처럼 두 사건이 서로 별개의 불법행위로 나뉘어 있고, 그로 인한 결과가 각각 독립적이라면, “교통사고와 병원 추락사를 하나의 단일 결과로 묶어 연대배상을 명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봤습니다.


구체적 조언: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 부분은 트럭 운전자의 책임 한도에서 배상액을 산정

병원 시설이나 직원 과실로 인한 추락사 부분은 병원 측 책임 한도에서 배상액을 산정

중복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각 부분에 대해 별도로 책임을 묻는 방식이 타당


4. 결론 및 시사점

이 판결은 “행위들 간 시·공적 간격이 있고, 그로 인한 손해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별된다면, 이를 하나의 공동불법행위로 묶어 연대책임을 지우긴 어렵다”는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교통사고 사례: 첫 번째 사고로 인한 부상은 운전자 측이 책임지고, 그 다음에 발생한 병원 내 과실(시설하자·의료진 실수)로 인한 추락사 등 추가 손해는 병원 측이 책임져야 한다.

적용 범위: 시간·장소가 명백히 분리된 불법행위가 각각 독립적인 결과를 낳는다면, 원칙적으로 가해자들은 자기 행위로 인한 손해만 부담하는 구조가 합리적이라는 점을 확인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