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교통사고소송실무

사회보장제도 급여, 손해배상과 어떻게 조정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사회보장제도 급여, 손해배상과 어떻게 조정할까?


1. 사회보장제도, 얼마나 다양할까?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공적 제도를 통해 여러 형태의 보장급여가 지급됩니다. 대표적으로 근로기준법 및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재해보상·요양급여, 국민건강보험법상의 건강보험급여, 공무원연금법·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군인연금법·국민연금법 등 각종 연금법령상의 장해급여·유족급여, 고용보험법상의 구직급여·상병급여, 국가유공자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나 의사상자 예우법령 등에 의한 보상금, 그리고 범죄피해자 보호법,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장애인복지법 등에 따른 급여 등이 있습니다.


2. 급여의 성격, 크게 네 갈래


사회보험적 급여: 산재보험·국민건강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 등은 주로 피보험자나 사업주가 내는 보험료를 재원으로 삼습니다.

사회보상적 급여: 국가유공자법이나 의사상자 예우법, 범죄피해자 구조법 등에 기반을 두는 급여로, 전액 국비로 충당되며 공적 보상의 성격을 가집니다.

공공부조적 급여: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등, 전적으로 국가 예산을 재원으로 하는 생활지원 제도입니다.

사회복지적 급여: 장애인복지법 등, 주로 국가가 예산으로 제공하는 복지 서비스가 해당됩니다.


3. 교통사고 피해자도 이런 급여를 받으면, 배상금에서 빼야 할까?

교통사고로 피해를 입어 손해배상청구를 하게 된 경우, 피해자가 동시에 사회보장제도에서 어떤 급부(예: 산재보험급여, 국가유공자 보상금 등)를 받는다면, 이를 ‘손해배상금에서 빼줄 것인가’가 쟁점이 됩니다.


공제 부정론: 사회보장급여는 헌법 제34조에 따른 국가의 의무로서 피해자의 인간다운 생활 보장을 위한 것이므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제도와 목적이 다르다는 시각입니다. 곧, 피해자에게 중복취득을 허용해야 제도 목적이 달성된다는 주장이죠.

공제 긍정론: 사회보장제도라도 손해 전보 성격이 있거나, 해당 법령에 ‘가해자에 대한 구상(대위 청구)’을 규정한 조항이 있으면 손해배상금에서 빼야 한다고 보는 견해입니다.


4. 모든 사회보장급여를 동일하게 볼 수 없다

실제로 이런 급여는 성격과 법적 근거가 매우 다채롭습니다. 그래서 “손해배상액에서 똑같이 전부 공제할 것인지, 어떤 순서로 뺄 것인지”를 어느 한두 이론만으로 결정하기 어렵습니다. 각 제도가 탄생한 목적이나 구조, 그리고 가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도록 해둔 규정이 있는지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예컨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는 가해자가 따로 있는 업무상 재해의 경우 보험자가 피해자의 가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할 수 있는 규정이 있어, 실무에서 공제가 인정되는 방향으로 해석되곤 합니다. 반면, 순수한 공공부조인 생활보호급여는 손해 전보 목적과 직접 관련이 없다고 여겨 공제를 부정하기도 합니다.


5. 실제 소송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나


예1: 산재로 보상받았는데, 교통사고 가해자에게도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이때 산재급여액을 손해배상액에서 뺄 것인지가 핵심이 됩니다.

예2: 국가유공자 보상금이나 범죄피해자 구조금 같은 사회보상적 급여를 이미 수령했다면, 과연 가해자 측이 “그만큼 빼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

예3: 국민연금법상의 장애연금이나 유족연금도 사고 손해와 연관해 별도로 받게 됐다면, 이는 중복보상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죠.


6. 결론: 각 급여별로 구체적 판단이 불가피

이처럼 사회보장급여를 손해배상금에서 공제할 것인지 여부는, 규정마다 서로 다르며, 사고와 해당 급여가 ‘상당인과관계’ 안에 놓여 있다고 볼 것인지도 살펴야 합니다.

결국 손해배상실무에선 “이 급여가 본래 손해 전보 목적을 갖고 있는가, 해당 법령에 제3자불법행위 시 대위 규정이 있는가, 피해자 입장에서는 실제 어떤 중복이 생기는가” 등의 문제를 따져 개별 판단하게 됩니다.

즉, 피해자는 여러 가지 공적급여를 받을 수 있으나, 그중 어떤 것은 배상금에서 공제되고, 어떤 것은 공제되지 않는 식으로 처리가 갈리곤 합니다. 뒤이은 논의(산재보험급여,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국가유공자 보상금 등)에서 구체적 사례가 어떻게 해결되는지 살펴보면, 실제 분쟁에서 손해액을 계산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