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교통사고소송실무

고속도로 갓길 정차 추돌, 언제 정차 차량도 책임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고속도로 갓길 정차 추돌, 언제 정차 차량도 책임지나?




1. 갓길 정차, 원칙적으로 가능하지만…

원칙적으로 고속도로에서 갓길 정차는 금지입니다. 다만 차량이 고장 나거나 도저히 움직일 수 없는 부득이한 사정이 있다면, 예외적으로 갓길에 세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라도 ‘안전조치’ 의무가 강화되므로, 이를 지키지 않으면 사고가 날 시 본인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사례 1: 고장 차량 갓길 정차, 과실 없다고 본 예


상황: 주간에 피해차량(화물차)이 고장으로 인해 갓길에 세웠고, 비상등도 켠 상태였습니다. 반면 가해 차량은 조향장치를 급하게 우측으로 돌리는 바람에 갓길로 들어와 화물차를 들이받았습니다.

결론: 피해 차량이 사전에 차량 정비를 소홀히 했다는 증거도 없고, 고장으로 인한 불가피한 정차였으며 비상등도 작동시켰으므로, 사고 발생·확대에 대한 과실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서울중앙지법 2016. 2. 12. 선고 2014가단5074936)


3. 사례 2: 아무런 조치 없이 갓길에 주차 후 잠든 차, 사고 시 책임 인정


상황: 야간에 편도 2차로 고속도로에서, 커브가 끝나고 직선도로 150m 지점의 갓길에 차를 세워놓고 운전자가 잠들어 있었습니다. 미등·비상등 등 안전표지는 전혀 없었고, 술·졸음운전 중이던 가해차량이 주행로에서 이탈해 그 차를 들이받았습니다.

결론: 1심은 “갓길 정차 차량 탓이 없다”고 봤지만, 대법원은 이를 뒤집었습니다. 즉, “고속도로에서 아무런 안전조치 없이 주차한 게 사고 발생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취지로, 주차 차량도 책임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대법원 2004. 8. 20. 선고 2004다19562)


4. 사례 3: 견인차가 2차로+갓길 걸쳐 주차, 미끄러진 승용차 추돌 → 과실 인정


상황: 야간 고속도로에서 이미 선행사고가 난 후, 견인차가 사고 수습을 위해 경광등·비상등을 켜고 2차로와 갓길을 절반씩 차지한 채 정차. 그런데 뒤따르던 승용차가 빙판길에 미끄러지면서 견인차를 들이받았습니다.

결론: 원심은 “견인차 과실이 없다”고 보았는데, 대법원은 “견인차의 정차 방식과 위치가 안전조치 의무 위반이 될 수 있다”며 이를 파기. 즉, 갓길과 차로를 겹쳐 차를 세워놓은 점이 사고 원인에 기여했다고 본 것입니다.

(대법원 2004. 2. 27. 선고 2003다6873)


5. 사례 4: 갓길 불법주차 차량 vs. 음주 운전 → 인과관계 없어 무책임


상황: 갓길에 주차된 11톤 트럭을 술 취한 운전자가 승합차로 들이받았습니다. 이후 운전자가 중앙 차로로 들어가 다른 차량과 잇따른 충돌을 당해 사망했는데, 이때 갓길 주차와 후속 사망 사고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 문제 됐습니다.

결론: 법원은 “해당 운전자가 고속도로 차로로 걸어 들어가 일어난 2차 사고에 대해, 갓길 주차 트럭의 과실과는 인과관계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첫 충돌 후 운전자의 별도 행동이 사고를 확대시켰다고 본 것입니다.

(서울지법 1998. 10. 1. 선고 98나15377)


6. 사례 5: 갓길 정차 4.5톤 트럭, 후방 고장 표지 전혀 없이 주행로 약 1m 침범


상황: 비 오는 야간에 남해고속도로 편도 1차로 구간에서, 트럭이 엔진·전원 고장으로 약 1m 정도 차로를 침범한 채 정차했는데, 뒤따르던 2.5톤 트럭이 이를 들이받았습니다.

결론: 갓길 트럭에게 40% 과실이 인정됐습니다. 안전 표지를 하지 않았고, 차로 일부를 차지해 사고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서울지법 1997. 8. 19. 선고 97나12296)


7. 사례 6: 선행 추돌사고 후 2·3차로 가로막은 승용차, 뒤차에 치여 피해자 사망


상황: 편도 4차로 고속도로에서 선행 추돌사고를 낸 승용차가 2차로와 3차로에 걸쳐 정차만 해둔 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모르고 뒤따르던 차가 충돌, 그 승용차에 있던 사람이 사망했습니다.

결론: 원심은 피해자와 가해자 과실비율을 4:6으로 봤으나, 대법원은 “형평 원칙에 어긋난다”며 파기했습니다. 즉, 선행사고 후에 ‘아무런 후속조치 없이 차도 위에 차를 놔둔’ 측 과실이 훨씬 크게 작용될 필요성을 지적한 것이죠.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54560)


8. 결론: 갓길·고속도로 정차, 안전조치가 곧 과실 여부를 가른다

요약하면, 고속도로 갓길에 정차해야 할 사정이 있는지, 그 정차가 본인 귀책(고장·사고유발)인지, 차량이 차로 일부를 침범했는지, 그리고 후방 안전장치(비상등·삼각대 등)를 잘 했는지에 따라 정차 차량의 과실 여부가 달라집니다.


정차 과실 무: 불가피한 고장이나 정비 불량 없이, 비상등 등 충분한 표시를 한 상태에서 정차했고, 사고가 ‘상대방 차량의 급조향 등으로만’ 발생했다면 정차 차량에 과실이 없다고 봅니다.

정차 과실 유: 반면, 야간에 아무 표시 없이 세워두거나, 차로 일부를 침범하고, 후속 차량이 이를 미처 못 봤다면 정차 차량 과실이 상당히 올라갑니다. 선행 추돌사고 후 차도로 방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높은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결국 고속도로 혹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차량을 멈춰야 한다면, ‘긴급 상황에서의 안전조치’를 얼마나 성실히 수행했는지가 과실책임을 가르는 결정적 요소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