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교통사고소송실무

같은 가족이면 모두 ‘피해자 측’일까? 친족 과실도 상황 따라 달라진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같은 가족이면 모두 ‘피해자 측’일까? 친족 과실도 상황 따라 달라진다


1. “친족”이라고 해서 다 피해자 측 과실이 될까?

과실상계에서 ‘피해자 측 과실’로 인정될 범위는 **“신분상·생활상 일체성”**이 중요한 기준입니다. 단순히 형제·자매·부모·자식 사이란 이유만으론 부족하고, 실제로 한 집에서 살거나 경제·생활 면에서 강하게 결합된 상태인가가 핵심입니다.


사례: 형제가 완전히 별거하고 있다면, 형제 중 한 사람의 운전 잘못을 “피해자 측 과실”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가 유력합니다.


2. 근거: 가족이긴 해도 독립 생활 중이면?


(1) 장기간 별거

예컨대 부부가 완전히 각자 생활해 온다면, 사고 시 남편이나 아내의 잘못이 상대 배우자의 과실로 잡히진 않을 수 있습니다.


(2) 독립 생계

성인이 된 자녀가 부모와 전혀 경제를 공유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거주·활동한다면, 부모 잘못이 자동으로 자녀 쪽 책임(피해자 과실)이 된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3. 판례가 보여주는 친족 과실사례


(1) 가족관계인데 ‘신분상 일체성’ 인정

형제·남매: 오빠가 오토바이 운전, 동생이 뒷좌석에 탑승 중 사고 → 오빠 운전 과실이 피해자 측 과실로 잡힌 사례가 존재합니다.

부모·자식: 아버지가 운전, 미성년 자녀가 동승해 사고 → 법원은 보통 아버지의 과실을 자녀 측 과실로 평가함.

부부: 남편이 운전, 아내가 동승 → 남편의 운전 잘못이 아내 배상액을 줄이는 근거가 될 수 있음.

(2) ‘신분상 일체성’ 부정

성인 사촌형제: 가족회사 직장동료로서 함께 일했지만, 각각 독립된 경제·생활 주체로 판정되어 “운전자인 사촌형의 과실을 동승 피해자인 사촌동생 측 과실로 볼 순 없다”고 본 사례도 있습니다.


4. 판례 예시


(사례 A): 대법원 1999. 7. 23. 선고 98다31868

어떤 미성년자가 부모의 이혼 후 엄마와 살다 사고 당시 아버지 차에 탔었고, 아버지와는 별거 생활 중이었지만, 사고 당시 함께 장인·장모 묘소에 가는 등 교류 흔적이 있었다면, 아버지의 과실을 자녀(피해자) 측 과실로 본 예가 있습니다.

즉, 완전한 별거라 보기 어려워, 이들 사이에 여전히 생활상·경제적 밀착이 있었다고 판정한 것입니다.


5. 결론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론 무조건 피해자 측 과실을 인정하긴 어렵습니다. 각 친족이 실제로 하나의 생활단위를 이루고 있는지, 경제·사회적으로 밀접한지 등을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가족이라도 오랜 별거·독립 생계 중이면, 운전자가 잘못해도 피해자 측 과실로 잡히지 않을 수 있음.

가족 간 유대가 강하고 실질적 동거나 경제적 일체가 인정되면, 사고 운전자의 과실을 피해자 측 과실로 반영하는 경향이 강함.

이를 통해 복잡한 구상관계를 사전에 정리하고, 손해 분담이 공평해지도록 하려는 것이 불법행위법의 취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