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반내장증, ‘디스크 탈출 없이도’ 허리 통증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본문
정경일 변호사의 교통사고 로펌 | |
추간반내장증, ‘디스크 탈출 없이도’ 허리 통증이? 교통사고소송실무 | |
http://j.tadlf.com/bbs/board.php?bo_table=page6_3&wr_id=177 |
추간반내장증, ‘디스크 탈출 없이도’ 허리 통증이?
1. 추간반내장증, 왜 ‘추간판성 통증’이라고도 할까?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라 하면 흔히 수핵이 터져나와 신경을 누른 경우를 떠올립니다. 그런데 추간반내장증은 디스크가 실제로 탈출되지 않아도, 내부 구조나 대사 이상 때문에 요통을 주증상으로 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예시: “A씨”가 계속 허리가 아파 MRI를 찍어봤는데, 디스크 자체가 ‘튀어나왔다’는 흔적이 없다고 해도 “추간반내장증”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디스크 내부의 문제’**로 인해 요통 및 둔부·하지 방사통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죠.
2. 왜 허리 통증이 이렇게 생길까?
추간판 내부(수핵·섬유륜)에서 장기적인 구조적·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퇴행성 요소: 대개 나이가 들며 디스크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섬유륜의 탄력이 줄어들고 수분이 감소해 금이 가기 쉬워집니다. 이때 큰 ‘외상’(교통사고 등) 없이도, 생활 속에서의 충격(무거운 물건 들기 등)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요.
예시: “B씨”가 격렬한 운동을 한 뒤 허리에 묵직한 통증을 느꼈는데, 검사 결과 디스크 탈출은 없으나 ‘추간반내장증’ 판정을 받았다면, 사실상 내부 노화·손상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3. 디스크 탈출과 어떻게 다를까?
추간판탈출증(Herniated Disc): 디스크 수핵이 외벽(섬유륜)을 뚫고 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 방사통이 비교적 뚜렷하며, MRI 검사로 ‘돌출’이 확인됨.
추간반내장증(Internal Disc Disruption): 디스크 겉부분이 크게 터지지 않아도, 내부 손상으로 허리 통증 및 방사통이 가능. MRI나 CT에서 뚜렷한 탈출 소견이 없을 수도 있음.
4. 치료와 장애평가는 어떻게?
추간반내장증은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물리치료, 통증 클리닉에서의 신경차단술, 적절한 운동 및 자세 교정 등.
수술: 디스크 내 문제 부위를 제거·고정하는 ‘추체간융합수술’이나 ‘척추경나사못 고정술’ 등이 검토됩니다.
그렇지만 장애평가 시에는 보통 **“추간판탈출증의 장애 항목을 준용”**합니다. 내부 구조 손상으로 인한 통증은 추간판탈출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므로, 실무에서 비슷하게 처리한다는 것이지요.
5. 교통사고와 기왕증, 어디까지 고려되나?
추간반내장증은 **“퇴행성 변화”**가 근본 원인인 경우가 많아, 교통사고 피해자가 “사고로 인해 내장증이 발생했다”고 주장해도, 사고 이전에 어느 정도 진행된 노화나 퇴행성 요소가 있었을 수 있습니다.
예시: “C씨”가 사고 전에는 자각증상이 없었지만, 이미 디스크 내부가 약해져 있던 상황에서 충격을 받고 통증이 발현됐을 가능성도 크다는 말이지요.
결국, 재판부나 보험사가 **“사고 기여도”**를 얼마나 인정하느냐가 쟁점이 됩니다. 퇴행성이더라도 “사고로 인해 촉발 또는 악화됐다”는 의료 소견이 있으면, 사고 책임 비중이 상당히 반영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6. 결론: “디스크가 튀어나오지 않아도” 허리통증은 가능
결국, 추간반내장증은 허리디스크 탈출 없이도 심한 통증과 방사통을 유발할 수 있는 증후군입니다. 완전한 디스크 파열은 없어도, 내구성이 떨어진 디스크가 통증 신호를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증상과 원인이 퇴행성 변화와 밀접한 탓에, 교통사고 등 외력이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는 사건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장애 평가 측면에서도, 통상 “디스크 탈출증” 항목을 준용하되, 환자의 노화·기왕증 정도 등 다양한 요소를 꼼꼼히 살펴 최종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허리디스크라면 수핵이 반드시 밖으로 빠져나와야 한다”는 선입견과 달리, 내부 손상만으로도 요통과 방사통이 가능하다는 점이 추간반내장증의 핵심 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