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자주하는 질문과 답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진단에 A.M.A. 5판·6판, IASP 기준 등 여러 방식이 있다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Q: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진단에 A.M.A. 5판·6판, IASP 기준 등 여러 방식이 있다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핵심 요약: CRPS 진단기준이 서로 달라 적용에 따라 판단 결과 달라질 수 있음.)


A: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은 외상 후 통증이 과하게 지속되면서 피부 변화, 부종, 발한 이상 등을 보이는 병인데, 진단기준도 여러 가지가 있어 혼선이 생기곤 합니다. 대표적으로 A.M.A.(미국의사협회) 5판, A.M.A. 6판, 그리고 수정된 IASP(국제통증연구학회) 기준이 실무에서 주로 언급돼요.


1.A.M.A. 5판 기준

통증, 혈관 이상, 발한·피부 변화 등 구체적 증상을 동시에 8개 이상 만족해야 CRPS로 진단할 수 있어요.

상당히 엄격해서 실제 임상 현장에선 “문턱이 너무 높다”는 비판을 받았죠.

 

2.A.M.A. 6판 기준

5판보다 완화된 기준을 채택했어요.

단, 여전히 진단받으려면 1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어야 하고, 2명 이상의 의사가 판단해야 하며, 정신심리검사를 거쳐 꾀병·증상과장 등을 배제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세우죠.

 

3.수정된 IASP 기준

크게 4개 범주(감각·혈관운동·부종·운동기능 변화)를 두고, 각 범주에서 특정 증상(주관적 호소)과 징후(객관적 발견)가 몇 가지 이상 충족돼야 합니다.

임상용 기준은 민감도(실제 환자를 놓치지 않음)는 높지만 특이도(가짜 환자를 골라냄)는 다소 떨어지고, 연구용 기준은 반대로 특이도가 매우 높지만 민감도가 낮다는 특징이 있어요.

 

4.그밖에 KAMS 기준

대한의학회에서 2016년 발표한 장애평가기준(KAMS guides)에서도 CRPS를 간단히 다루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여전히 적용례가 많지 않아요.

정리하자면, CRPS는 병증이 복합적이라 한 가지 진단기준만으로 절대적 판정을 하기 어렵습니다. 의료진은 여러 기준을 비교해보고 최종적으로 “환자 상태가 어떤 기준을 얼마나 만족하느냐”를 판단하게 되죠. 따라서 본인에게 맞는 검사나 진단 프로토콜을 거쳐, 사고와의 인과관계를 면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